전체 글 42 [백준,Python]1260번 DFS와 BFS(DFS&BFS) 오늘 리뷰하는 문제는 DFS와 BFS의 기초를 공부하기에 좋은 문제라고 생각되는 문제입니다. 백준 1260번 문제를 Python으로 구현해보았습니다. 먼저, 간략하게 문제를 소개하자면, Input으로 정점 개수 N, 간선 개수 M, 시작 정점 V를 입력받고, M만큼 간선 들을 또 입력받고 Output으로 DFS와 BFS의 결과를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자세한 문제 설명은 https://www.acmicpc.net/problem/1260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단 간단하게 개념을 설명하자면, DFS는 깊이 우선 탐색으로 그래프가 있을 때 방문한 점에서 길이 있으면 길이 없을 때까지 계속 방문하고 없으면 처음 루트에서 다시 탐색을 진행하는 알고리즘이고, BFS는 너비 우선 탐색으로 시작 루트 기준으로 가능.. 2020. 8. 11. AI활용한 에너지 효율 극대화 AI, ICT 등 이런 기술에 있어서 에너지는 필연적이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공지능(AI)은 이러한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실제로 AI를 에너지 분야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인지하고 '2020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등 대회를 통해 개선하려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전력망 운영 관리 국제대회(L2RPN)가 열렸는데 AI를 도입해 관리자 개입없이도 자동으로 효율화하는 시스템 개발이 핵심 주제였다. AI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 가능 AI를 에너지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은 수요와 공급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요 부분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에너지 기반의 전자기기.. 2020. 8. 7. [백준,Python]1463번_1로 만들기(DP,Dynamic Programming) 백준 알고리즘(Dynamic Programming 문제)들 중 *1463번_1로 만들기 문제*는 풀어 보면서 느끼는 것도 많고,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이되어 따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문제를 쭉 보고 생각을 해보니 N이라는 정수를 입력받았을 때 3가지 연산식을 이용해 N을 나타내는 데 최소값을 구하는 것이니까 min(3i+1, 2i+1,i)로 나타낼 수 있을 것라 생각했다. 그리고 최솟값이 되려면 3으로 나누고 1을 빼주는 것이 무조건 최솟값이므로 (같은 수N을 나타내려면 3i+1과 2i+1 중 당연히 3i+1의 i 값이 더 작을 것이기 때문) while문으로 1이 아닐 때 3으로 나누고 못나눌 경우 1을 뺴주고 나.. 2020. 8. 1. 고민거리 [AI 프로젝트개발] 대략 2주전, 7월 13일부터 AI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I를 더 깊게 공부하게 되었다. 만들어 보고 싶은 프로젝트들을 많은 데, 어떻게 공부해야하고 어디서 부터 손을 대야 할 지가 정말 막막했다. 일단 뭐든 해보자라는 마인드로 많이 나와 있는 예제들을 clone하여 내 로컬 환경에서 돌려보고, sample data만이 아니라, 직접 데이터를 제작하여 예제 모델들에 적용을 시켜보았다. 내가 원하는 자료를 처리하는 것을 실제로 확인하니, 뭔가 할 수 있다는 착각이 들었다..:) 하지만 생각보다 공부하고 알아야 할 내용들이 정말 많았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욱 해야할 것들이 점점 늘어나는 느낌이 들었고, 프로젝트의 기한이 점점 다가오는 입장에서 하루에 한 번씩 한숨이 나왔다,, 하지만, 여기서 .. 2020. 7. 28. Thread vs Process 배웠었던 Thread와 Process개념에 대해서 한 번 더 정리하고 가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Process안에 많은 Thread들이 있고, Thread는 하나의 작업이라고 이해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Define해보려고 합니다. 두 Thread,Process개념을 정리하기 전에,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원리를 이해하는 순서로 정리 Program이란 무엇일까? -"작업을 위해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Application이라고 표현한다)" 그 프로그램에는 수많은 바이너리 파일들이 존재하는데, 어떻게 실제로 실행이 되게 할까? -그 파일들의 실행을 담당하게 되는 게 Process이고, Process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정리하면, Process는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일단.. 2020. 7. 19. YOLOv3를 이용한 영상 인식 학습 오늘은 YOlO(You only look once)라는 물체 탐지로 사용되는 알고리즘/모델을 이용하여 주행 상황 중의 물체 인식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해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먼저, 이 YOLO라는 시스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YOLO 기능? 이전의 탐지 시스템은 classifier이나 localizer을 사용해서 탐지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YOLO는 하나의 신경망을 전체 이미지에 적용하였다. 이 신경망은 이미지를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Bounding Box와 확률을 예측한다. 이런 Bounding Box는 예측된 확률에 의해 가중치가 적용된다. 수천개의 이미지가 필요한 R-CNN와 달리 하나의 네트워크 평가로 예측할 수 있다. 비교하자면, R-CNN보다는 1000배 이상 빠르고, .. 2020. 7. 18. 이전 1 ··· 3 4 5 6 7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