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2

1. Pytorch Tensor[파이토치, 텐서] 1. Pytorch Tensor[파이토치, 텐서] 딥러닝 프레임워크인 Pytorch의 기본 개념인 Tensor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Tensor는 numpy의 ndarray와 비슷하며, GPU를 사용한 연산 가속이 가능하다. -생성(torch. + empty, ones, rand, zeros, tensor ) #empty x = torch.empty(5,5) print(x) #ones y = torch.ones(5,5) print(y) #zeros z = torch.zeros(3,3) print(z) #rand a = torch.rand(4,2) print(a) #torch.tensor b = torch.tensor([[1.1,2.2],[2.2,3.3]]) print(b) #x.size q = torch.. 2021. 1. 13.
인공지능과 동물의 뇌 인공지능과 동물의 뇌 인공지능과 동물의 뇌는 비슷하지만 서도 매우 다르고 비교하기 다소 위험하다고 생각해왔다. 최근 국내 연구진(KAIST)이 동물의 뇌는 인공신경망과는 달리 '숫자 감각'을 타고난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밝혔다. 주어진 시각 정보에서 물체의 수량을 파악하는 능력인 숫자 감각은 뇌 신경망의 고등 인지 기능 중 하나이다. 인공신경망 분야에서 이런 인지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숫자 감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어떤 학습과정이 필요한 지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동물의 뇌 구조를 모사한 인공신경망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등 인지 기능이 최초로 발생하는 상황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모든 연결 가중치가 무작위인 초기화된 상태에서, 학습 없이도 뉴런(신경세포)이 특정.. 2021. 1. 10.
[파이썬, Python]PEP-8 코딩 스타일 [파이썬, Python]PEP-8 코딩 스타일 코딩을 하면서 좋은 코딩 습관, 스타일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기존 코딩 스타일을 버리고, 파이썬 프로그래머들의 일반적인 코딩 스타일인 'PEP-8' 스타일로 코딩 습관을 갖춰보려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www.python.org/dev/peps/pep-0008/ PEP 8 -- Style Guide for Python Code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이 링크를 통해 들어가보면 PEP 8에 대한 자세한 소개가 있다. "PEP-8"스타일에 대한 장점 -이 코딩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은 자신의 코드를 명료하게 할 뿐만 아니라, .. 2020. 12. 23.
[JAVA]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abstract class & interface) [JAVA]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abstract class & interface) 자바의 상속 개념을 사용할 때, 헷갈리는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 조금 자세히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외향적인 차이와 다형성, 존재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상속의 개념 상속이라는 개념은 어느 객체에서 공통된 기능이나 그 기능을 포함하는 다른 객체를 만들거나 할 때, 유용하게 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이다. 예를 들어, 어벤져스의 인원들에 대한 설명을 프로그래밍한다고 생각해보자. 어벤져스의 공통적인 특성인 1. 슈퍼히어로이다 2. 평범하지 않은 과거를 가지고 있다 등 이런 공통적인 특성들이 있을것이고 차별되는 각각의 특성들인 1. 하늘을 날 수 있다. 2. 힘이 매우 쎄다(헐크) 등 많은 특징을.. 2020. 10. 3.
[인공지능]탐색(Search) [인공지능]탐색(Search) 인공지능 연구 분야/기술로 Search가 있는데, 왜 Search를 하냐, 또 Search 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에 대해서 작성하려고 한다. 탐색(Search) : 문제의 해(solution)가 될 수 있는 것들의 집합을 공간(space)으로 간주하고, 문제에 대한 최적의 해를 찾기 위해 공간을 체계적으로 찾아 보는 것이다. -주요 용어 State(상태) : 특정 시점에 문제의 세계가 처해 있는 모습. World(세계) : 문제에 포함된 대상들과 이들의 상황을 포괄적으로 지칭. State space(상태 공간) : 문제 해결 과정에서 초기 상태로 부터 도달할 수 있는, 해가 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상태들의 집합.( Initial state(초기 상태) -> goa.. 2020. 9. 29.
MMDS(mining massive data sets)와 분산 파일 시스템(Distributed File System) MMDS(mining massive data sets)와 분산 파일 시스템(Distributed File System) 데이터는 가치와 지식을 지니고 있지만, 그러한 가치와 지식을 추출해 내기 위해서는 다음의 것들이 필요하다. 1. 데이터들을 저장할 소프트웨어 저장소(Systems) 2.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는 Databases 3. 그리고 이 것들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기술(data mining) Data mining은 very large datasets에서 actionable한 information(실행하는 한 정보)을 추출하는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 분석의 자세한 설명 )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분석이란?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분석이란? 저번 글 https://ra.. 2020.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