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 국내외 AI 디지털 개인화 교육 '국내외 AI 디지털 개인화 교육' 국내에서도 디지털 교육 기술 도입이 진행되고 있지만, 해외 사례와 마찬가지로 기대와 우려가 혼재하고 있다. 교육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효과적인 도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디지털 교육 기술 도입 현황[해외 사례]- 미국, 일본, 독일 등은 디지털 학습 플랫폼을 도입한 이후 활발히 활용하고 있으며, 스웨덴과 핀란드는 부작용 우려로 종이 교과서로 회귀한 사례도 있다.1. 미국: 애리조나주립대는 2016년 AI 튜터 '알렉스'를 도입해 학생들에게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켰다. 최근에는 챗GPT를 도입하기로 했다.2. 일본: 2019년 '기가 스쿨 구상'을 통해 초·중학생 1인당 태블릿PC를 지급하고, 맞춤형 학습을 촉진하는 '학습.. 2024. 11. 10.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 2' 리뷰 및 해석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 2' 리뷰 및 해석 최근에 개봉한 넷플릭스 에 관한 리뷰와 해석을 남겨보려 한다. (주관적 해석)는 에 이어지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필자는 을 오래전에 시청했으며, 한국의 SF 스릴러 시리즈 중에 괜찮은 퀄리티를 갖춘 드라마라고 생각해 시즌 2를 보게 되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이 시리즈를 시청하며 궁금해하는 내용은 "도대체 왜 신이 인간 세상에 개입하며, 그 이유가 명쾌하게 설명되지 않는가?"일 것이다. 필자 또한 이 궁금증에 대한 답을 원하며 "이번 시즌 2에서 답을 주겠지"라는 생각으로 영상을 보기 시작했다.하지만 드라마가 끝난 후 생각해본 결과, 그 답은 "찾지 말아라"가 정답이었다. 전체적인 지옥의 스토리는 평범한 인간이 천사로부터 "언제 당신은 죽을 것이다. 그리고 .. 2024. 11. 8. 공상 - AI 세번째 단계와 창의성 필자는 SF 영화 장르를 좋아하고 많이 봐왔다. 담골 소재로 등장하는 내용은 외계인이 교묘하게 인간 사회 또는 인간에 침투해서 조용하게 능력을 키운다. 그 조용하게 키운 능력은 모든 인간을 두렵게 만든다. AI가 그동안 획기적인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원인의 첫째는 하드웨어 가속화 기술의 발달이고 둘째는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확보이다. 그렇다면 세번째 발전 단계는 무엇일까. 하드웨어는 현재까지도 AI를 융합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달 진행중이고, 이 글을 통해 필자가 말하고 싶은 내용은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확보과정이다. 현재 대부분의 테크 기업들은 이 중요성에 대해 굉장히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자의 사내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몇년전부터 구축하고 더 나아가 국외 데이터센터.. 2024. 11. 7. [백준,Python]15649번 N과 M (1)(Backtracking) 이런 유형의 탐색 문제를 만났을 때,가장 먼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계산해야 풀 수 있는 가를 생각해본다.그렇지 않다면 함수로 조건문을 사용하여 빠르게 탐색않해도 될 부부을 정의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생각한다.예를 들어, 이 문제에서는 중복된 수열에 대해서는 탐색하지 않아도 된다. 실제로 수열의 크기가 커진다면 굉장히 Critical 해질 수 있는 부분이다. ( 1 1 2 3 4 5 6 7 8 ...) 또한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하는 부분에서 탐색 범위가 한정되었다. Brute Force 로 접근할 경우,수열의 크기가 커질 경우, 가능한 모든 조합을 찾고 그 중에서 필터링하는 방법은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리고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처음 빈 수열을 입력 받아 , 조건이 맞을 때 출력을 하.. 2024. 5. 11. [백준,Python]11651번 좌표 정렬하기 2(Sort) 처음 문제를 풀 때, 생각 없이 아래와 같이 Bubble Sort로 접근하였다. import sysinput = sys.stdin.readlinenum = int(input())s_list = []for i in range(num): N,M = map(int, input().split()) s_list.append([N,M])c = 0 while c s_list[c+j][1]: s_list[c], s_list[c+j] = s_list[c+j], s_list[c] c += 1for k in s_list: print(k)하지만 Bubble Sort 방식으로 접근하면 O(n^2)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문제에서 점의 개수(N)이 최대 100,000이라고 주어졌으.. 2024. 5. 6. 수학 공식을 만드는 인공지능(AI) 수학 공식을 만드는 인공지능(AI) 오랫동안 수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가설(Conjecture)은 천재들의 전유물이었다. 지난 100년동안 발견한 중요한 수학 공식은 수십개에 불과했다. 또한 많은 수학자들이 하나의 공식을 생성하기 위해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AI 가 이를 대신하기 시작했다. 지난 10일 미 과학 전문지 'ZME사이언스'는 테크니온 이스라엘 공과대학에서 지난 2019년 개발한 인공지능이 당초 목표대로 가설(Conjectures)을 생성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수학자들이 해야 할 새로운 추측을 컴퓨터가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알고리즘이 많은 양의 데이터 패턴을 감지하는 기계 학습은 이미지 인식에서 신약 발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돼 왔다. 그러나 보다 더 근본.. 2021. 2. 27. 이전 1 2 3 4 ··· 7 다음